스님의하루

2025.4.9. 백일법문 52일째, 수행법회, 신규 법사 수련
“대선을 앞둔 지금, 원포인트 헌법 개정을 해야 하는 이유”
본문보기

김종근

감사합니다

2025-04-14 07:14:11

그래도스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토회의 깨장, 나장, 명상 등의 프로그램이 좋다.
그리고 스님이 말씀하신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보자는 법문은 내게 큰 도움이 되었다.
전부 내 마음이 일으킨다. 이것은 스님도 마찬가지다.
각자 그렇게 일으키게 된 연유가 있겠지.

2025-04-13 17:31:07

실망

너무 실망스럽네요.

2025-04-13 15:36:14

지나가던 세계사 덕후로서

20년 이상 취미로 세계사를 판 덕후로서, 오늘에야 비로소 왜 정치관심자라면 반드시 역사를 공부해야 하는 지 필요성 알게되었습니다. 역사를 모르니, 오늘 당장 일어난 일만 가지고 짧은 관점에서만 따질 수 밖엔 없는 치명적 결함이 있었네요. 한국 대통령제는 유교근본주의 잔재와 결합되서 헌법에 규정된 권한외에 덧붙여 더 강화되는 결정적 결함을 갖고 있습니다.

2025-04-13 14:57:12

무량음

스님의
큰 뜻을 의심하지는 않지만,
정치분야 관련 지식이나 정보를
소위 정치원로나 사적욕망추구형 정치인을
통해서 얻고 있어
객관적이지 못하고 현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바탕에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동의가 되지 않는것을 넘어서
잘못된 영향을 줄 수있다는 우려가 강하게 듭니다

2025-04-13 13:33:45

이흥식

선거가 2달도 남지 않았는데 내란종식, 개헌 그리고 대선준비까지 같이 추진하기엔 시간상 불가능합니다. 애초에 개헌 주장 세력의 의도가 국면전환용이었고 스님 말씀처럼 원포인트 개헌과 같이 가볍게 접근할 문제는 더우기 아닌 것 같습니다. 권력분산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다음 국회의원 선거 이후에나 가능할 것 같습니다.

2025-04-13 12:02:21

불교가정치를

개헌은 당연히 이뤄져야만하지만 법이 지켜지지 않고
민주주의가 지켜지지 않은 폭력을 지지 하는 세력과 개헌하자고 한다면 그 사람도 범죄자이지 합의에 대상이 아닙니다
법은 아무 잘못이 없습니다
폭력을 지지한다는 사람이 문제지요
그것이 민주주의는 아닙니다 법륜스님 10년전부터 항상 지켜봐왔지만정치적 목소리는 자중하셨으면 좋겠습니다즉문즉설이평화를지양하게됩니다

2025-04-13 11:17:17

불교가정치를

통일신라부터 고려가 망한것도 불교가 정치에 개입해서지요
민주주의는 다양한 사람이 참여해야지요
허나 민주주의는 법위에 있을까요?
법밑에 있을까요?
법치주의는 민주주의가 바탕이 되어야만 합니다
사법부가 제대로 칼을 휘두르지 않을때 뭐하셨습니까?
국민들이 몸으로 탱크를 막을때도.. 일부 극우 폭도들이 법원에서 폭동을 일으켜도 사법부가 제대로된 역할을 했습니까?

2025-04-13 11:12:23

모두가사는 길

스님의 원포인트 개헌논의에 대해 동의합니다. 남은 죽고, 내가 살면 나중에 어떻게든 돌려 받아 결국 서로 불행해 지는 이치에 공감합니다. 내가 살기 위해서라도 남도 살리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실제 어떤 것인지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4-13 10:31:09

스님의진심을믿어주세요

저는 계엄후에도,요사이에도 스님강연 많이참여했지만ㆍ어떤분 들으셨다는것같이 스님께서 말씀하신걸 들은적이없어요ᆢㅠ윤의 거짓말에"안했다잖아!안했다잖아!"하시고요ᆢ다름을 인정하라 법문은하셔도"젊은사람들이 탄핵반대 집회나서는모습ㆍ그건좀그렇지않냐"하시고요ᆢ
이재명님 무죄후즉문즉설에서도," 야당대표도 겨우 무죄로ᆢ이 판국에ᆢ지금그게 문제냐"
스님께선늘염려와비판을하셨어요

2025-04-14 02:2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