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토회란 자기변화와 사회변화를 이루기 위한 모임이다.
성불과 정토, 지혜와 자비,상구보리 하와중생 등 수행을 기본으로 하되 사회변화에 무게중심을 둬 두마리 토끼를 잡기위함이지만 자기 수행이 확실히 되면 사회문제에 눈이 떠지니 일과 수행의 동시성을 맛보게 되고 '정토를 일궈나가는 모임' 즉 정토^회^다.
이와같이 들었습니다.
2020-10-23 11:25:42
신혜정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스님의 원력에 울컥합니다.
스님, 피곤하고 힘들지만 괴로워할 일은 아니다라는 말씀에 격하게 공감됩니다.
확실하게 관점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0-10-22 13:34:45
무량상
멋있어요!
2020-10-21 21:53:25
김현숙여래심
정토회에 담긴 의미 짚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2020-09-25 21:06:54
김춘배이현미
스님~^^ 건강발원합니다
세상 환경이 어떻든 나는 괴로움이 없는 것이 성불이고, 개인이 수행이 되었는지에 관계없이 이 세상이 사람이 살아가는 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는 것이 정토입니다. 성불이 ‘상구보리’에 해당한다면, 정토는 ‘하화중생’에 해당합니다.
괴로움이 없는 자유로운 사람이 되어 이웃과 세상에 잘 쓰이겠습니다
스님~^^자~알 알겠습니다 _()_
2020-09-09 17:48:50
법안
스승님께 귀의합니다..
2020-09-08 21:38:17
김미라
원(願)을 이루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면 그 원이 성취되었는가 여부에 관계없이 보살은 이미 정토 세상에 살고 있는 겁니다.
정토회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상구보리 하화중생, 지혜와 자비를 향해 정진합니다.
2020-09-08 14:12:13
실상
사회완성에 비중을 두어서 정토이고, 평등성을 지향해서 회(승)라고 이름 지었다는 말씀 잘 이해했습니다. 내가 행복해야 정토도 있는거죠. 긍정적으로, 어떤 순간에도 나에게 이득이 되도록 연구하겠습니다.
2020-09-08 00:05:52
금강지
수행자의 관점을 다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좋은 질문 해주셔서 질문자께도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