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하루

2015.8.10 청년 동북아 역사기행 2일째, 고구려의 역사
본문보기

^^^^

벽화의 색이나 곰설명들이 너무나 아름답고 감탄을 자아내게 합니다~글도 재미있고 아주 정성스럽게 쓰셨네요^^&lt;부여는 조선보다 조금 더 북쪽에 있었어요. 그래서 지금도 부여라고 불리우는 현이 있습니다. 고구려 시대에도 천리장성 중에 부여성이 있었습니다. 이 부여에서 고주몽은 남쪽으로 내려온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 부여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발해가 우리의 잃어버린 역사의 첫 번째라면 두 번째는 부여입니다. 부여에 대해서 별로 아는 것이 없어요.이것은 발해와 부여 모두 지금 우리 민족이 살고 있는 한반도가 아닌 저 동북쪽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다물 사상에 의해서 고조선으로부터 고구려로 바로 이어진 것이 아니고 그 중간에 부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부여와 고구려를 하나로 봐야 합니다. 부여 고구려 시대라고 말할 수 있겠죠.&gt;&lt;고구려 멸망 후 30년만에 북방 영토에는 발해, 즉 대진국이 일어났죠. 그래서 고구려와 백제가 망했다는 의미에서는 삼국 통일이지만 실제로는 삼국 통일이라기 보다는 신라와 발해라는 이국 시대라고 볼 수 있죠&gt;&lt;고구려의 영토 일부를 신라가 차지했지만 그것은 반도 안에 불과했고, 실제로 고구려의 광대한 영토는 발해가 회복했습니다.&gt;&lt;고구려 다음에 대진국이 나옵니다. 발해 사람들은 자기들을 발해라고 말한 적이 없어요. 자신들의 나라를 진국이라고 불렀어요. 그래서 고구려는 후대로는 발해로 계승이 되었습니다.” &gt;<br />

2015-08-22 03:33:55

공덕화

잘들었습니다. 스님 말씀에 역사 공부가 다시 됩니다. 잘 다녀오세요.

2015-08-13 07:42:05

밝을명

스님 무더위에 많이 힘드시죠? 항상 응원하고 감사합니다.<br />요즘 스님의 역사강연 너무나 명쾌하시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학교에서 한국사 공부하면서 우리나라의 힘없음에 너무나 많이 안타깝고, 눈물을 흘리면서 공부했었는데, 스님의 강연이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15-08-13 00:13:14

김성례

신라의 가야합병의 예를 우리의 통일의 위한 참고로 삼으면 좋겠다는 스님의 의견에 깊은 공감을 합니다~~약했던 신라가 가야를 포용하면서 통일하고서 나제동맹을 통해 강국인 고구려를 대적할 수도 있었듯이 오늘 우리도 북한을 어느 정도 수용하고 포용함으로써 먼저 남북통일을 이룰 때 미중일등 외세도 적절히 잘 이용하면서 협력관계를 만들어나갈 수 있지 않겠습니까?... 저도 지난 주 역사기행 다녀왔지만 같은 코스라도 중복되지많은 않는 내용 거듭 잘 보고 있습니다~~우린 강의시간도 힘들었는데 청년들은 강의 마치고 나누기 시간까지 ㅎㅎ 젊은이들이 다르네요 ~계속 역사의 현장에서 많은 걸 보고 익히고 오길 기원드립니다. 스님 건강 기원 드리고요 ()()^^

2015-08-12 21:42:45

고시퍼

잘보고있슴니다

2015-08-12 18:22:35

송영순

아직우리의 역사는~희망이 보입니다~항상 우리의~역사에 자부심을느끼지만~요즘은 중국~일본 사이에서~치이는~현실이 안타끼워지만 그래도~아직은우리의 역사에 희망이보여 좋습니다

2015-08-12 17:23:07

송은경

북한 아이들을 보니.넘 안타까울 뿐입니다

2015-08-12 16:10:59

문예진

스님 안녕하세요?
요즘 넘 바쁘서 자주 들여다 볼수 없으서 동향을 몰랐습니다 션한바람도 불고 살 만한계절입니다
더불어 스님께서도 건강히 여행여정되세요

2015-08-12 16:07:25

김고읍

2973

2015-08-12 15:46:09

박미건

감사드립니다. 무탈하세요

2015-08-12 15:2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