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을 잃은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께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 또한 피해를 입은 농경지와 주택이 하루빨리 복구되도록, 정부는 물론 우리 국민 한 사람 한 사람도 작은 힘이나마 보태야 할 것입니다. 현충일처럼 돌아가신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고, 고통 받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고 보시하며, 그들이 하루쯤은 쉴 수 있도록 배려하는 날로 삼으면 좋겠습니다.예
2025-08-02 20:23:18
오정숙
스님의 명쾌하신 말씀 고맙습니다.
2025-07-31 16:44:27
범해
"현대적으로 백중을 해석해 보면 두 가지 의미가 있습니다. 첫째, 조상의 얼을 기리는 날입니다. 즉 오늘의 내가 있게 해준 조상의 은혜에 감사하는 날입니다. 둘째, 중생의 은혜에 보답하는 날입니다. 지금 내가 이만큼 잘살고 있는 것은 나 혼자 잘나서가 아니라 누군가 옷을 만들고, 누군가 농사를 짓고, 누군가 묵묵히 일을 해주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2025-07-31 13:15:18
박영미
순우리말 살리기에 일상생활에서 저도 동참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025-07-31 06:45:10
무위성
우리말을 살려내는 마음을 내신 것에 고마운 마음이 듭니다. 살아가면서 내가 쓰는 말을 잘 살펴보겠습니다
2025-07-28 06:51:18
숙인
고.맙.습.니.다 ~~
2025-07-27 21:21:28
운정
순우리말 사용은 의미가 있으나 자연스러운 변화가 필요합니다. 억지스러운 순우리말을 고집하는 것은 역효과입니다. 책이나 미디어에서부터 사용하기 편안한 순우리말을 서서히 늘려 나간다면 서서히 물들어가듯 변화가 일어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언어사용은 천천히 상황을 살펴가며 거부감없이 변화해야 오래갑니다. 순우리말을 연구해 주시는 학자분들 계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2025-07-27 08:05:48
CACTUS
백중기도에 대해 자세히 알게되었네요. 하나 하나 배워가고 깨우쳐 가는 것 같아 흐뭇합니다.
감사합니다.